CSR
정보보안 강화를 통해 기업 기밀과 고객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분쟁광물 사용을 규제하는 국제기준을 준수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공급망 관리 정책을 시행합니다.
임직원은 정보보안과 관련된 법규를 준수하고 정보보호를 위해 책임과 역할을 다한다.
임직원은 정보보안에 대한 교육훈련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활동을 한다.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임직원 개인정보에 관한 자료는 주기적인 감시 및 감사를 통해 관리한다.
회사 기밀사항, 신규사업 정보 등 회사 내부정보를 회사의 승인 없이 제3자에게 절대로 유출 및 무단반출 해서는 안된다.
고객 만족을 위해 우수한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표준작업 준수 및 생산공정 최적화를 통하여 품질경쟁력을 확보하고 고객의 만족과 신뢰를 증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공정별 품질담당자 지정/관리
공정별 품질 체크 강화
공정별 복장착용 기준 강화
클린룸 파티클 관리 강화
공정별 작업공간 청결, 정리, 관리 강화
국내/해외 대응
24시간 긴급 대응
분쟁광물이란 아프리카 분쟁지역(콩고민주공화국을 포함한 수단, 르완나, 브룬디, 우간다, 잠비아, 앙골라,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 등 10개국)에서 채굴되는 4대 광물(3TG : 주석, 탄탈륨, 텅스텐, 금)을 말합니다.
이들 지역에서는 반군, 정부군 등 무장세력이 광물의 채굴과 유통을 장악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자행되는 지역 주민의 인권 침해와 노동력 착취 등의 인권이 유린되는 사회적 문제를 근절시키기 위한 경제적 제재의 일환으로 기업들의 분쟁 광물 사용을 제재하는 규제입니다.
규제 대상 광물은 휴대폰, 가전, 자동차 부품 등 산업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습니다.
미 의회는 2010년 7월 도드-프랭크 금융규제개혁법안(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을 제정하였으며, 2012년 8월 22일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 후속법안을 통과시킴에 따라 미국 성장기업은 매년 전년 실적에 대해 5월 31일까지 분쟁광물 사용 여부 및 원산지를 조사하고 공급사슬에 대한 실사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고해야하는 의무가 있습니다.
종류 | 매장량 | 주사용처 | 핵심산업 |
---|---|---|---|
주석 | 3~4% | 전자납땜, 산업기기, 화학약품 등 | 휴대폰, 자동차, 보석, 전자의료기기 등 |
탄탈 | 8~20% | 전자축전기, 터빈부품, 화학장비 등 | 휴대폰, 자동차, 우주항공, 에너지 등 |
텅스텐 | 2~4% | 초경합금 공구, 전자총 등 | 자동차, 전자의료기기, 에너지 등 |
금 | 1% | 전자도금, PCB | 반도체, 우주항공 등 |